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당갈 인도 실화 벽을 부숴라

반응형

출처 - 다음 영화 이미지

1. 당갈 출연진 및 영화소개

해당 영화는 니테쉬 티와리가 감독을 맡았고, 주연은 지난번 포스팅했던 영화 '세 얼간이'로 유명한 아미르 칸이 맡았다. 이 영화 내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역할을 하기 위해 아미르 칸은 자신의 몸무게를 69kg에서 97kg으로 조절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영화 제목 당갈은 힌디어로 레슬링을 의미하며, 이 영화는 인도 최초의 여성 레슬링 선수인 마하비르 싱 포갓의 이야기를 바탕을 두고 있다. 그녀는 실제로 국제대회 55kg급에서 금메달을 땄고, 그녀의 여동생은 51kg에서 은메달을 수상하였다. 주인공 기타를 연기하는 파티마 사나 셰이크와 동생 바비타를 연기하는 사냐 말호트라는 자신들의 역할을 위해서 8~9개월 동안 일주일에 6일을 연습하는 강행군을 이겨내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촬영 중 파티마 사나 셰이크의 골절 부상으로 인해 영화 촬영이 일시 중단되었다고도 한다. 당갈은 현재 인도 영화로는 역대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이며 2017년 필름페어상에서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2. 당갈 줄거리

마하바르 싱 포갓(아미르 칸)은 전직 레슬링 선수이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레슬링을 그만두게 되었다. 하지만 마하바르는 여전히 레슬링에 대해 미련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는 그의 아들을 레슬링 선수로 만들고 싶어한다. 그러나 마하바르에게는 네 명의 딸만 있다. 그러던 중 남자아이를 혼내고 돌아온 자신의 큰딸이 레슬링에 재능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레슬링을 가르치려 한다. 하지만 그 당시 인도 사회에서 레슬링은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져 끊임없이 놀림을 받게 된다. 어느 날 딸인 기타(파티마 사나 셰이크)와 바비타(산야 말호트)가 아버지에게 고된 훈련과 친구들이 놀리는 것에 대해 불평하고, 아버지 마하바르는 딸들이 연습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두 딸의 머리를 모두 자른다. 그러던 어느 날, 기타는 아빠 몰래 친구의 결혼식에 참석하지만, 아빠 마하바르에게 붙잡힌다. 기타가 그녀의 친구에게 그녀의 아빠에 대해 불평하고, 이 말을 들은 기타의 친구는 그녀에게 너의 아버지는 너의 인생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말한다. 그 이후 기타와 바비타는 스스로 일찍 일어나 운동을 하며 레슬링 연습을 시작한다. 그 후 기타는 사람들의 무시를 극복하고 남자들을 상대로 연속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기타는 마침내 전국 챔피언이 되고 국가대표 감독에게 훈련을 받는다. 국가대표가 된 기타는 아버지의 훈련 기술이 시대에 뒤떨어진다며 거절했고, 이후 국제대회 시합에서 계속 패배한다. 거기서 무언가를 깨달은 기타는 결국 아버지의 기술을 이용해 좋은 결과를 얻는다. 이에 감독은 기타가 자신의 이야기를 듣지 않는다는 이유로 화를 내고, 기타의 아버지가 기타를 지도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나 제19회 영연방대회의 결승전에서 기타는 결국 금메달을 획득한다.

3. 당갈 소감

나는 아미르 칸의 영화에 대한 안목을 좋아한다. 그는 인도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들에 관심이 있고, 그것들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느낀다. 영화 당갈은 인도 사회의 여성 문제를 담고 있는데 그 내용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마침내 기타가 금메달을 땄을 때, 나는 말할 수 없는 무언가를 느꼈다. 물론 마하바르 싱 포갓은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루기 위해 딸을 레슬링 선수로 키웠지만, 동시에 딸들의 권리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사실 인도에는 아직 조혼 제도가 있고, 많은 소녀들이 여전히 어린 나이에 결혼을 하고 있다. 그들의 삶은 결혼 후에 더 제한적이다. 어린 나이에 아이를 낳고, 아이를 키우고, 가족을 돌보는 것이 인도의 평범한 여성들의 삶이다. 하지만 마하바르는 자신의 꿈을 위해서이자 딸들의 인생을 위해 싸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아버지여도 자기 딸을 위해 그렇게 싸울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영화가 보여주는 것보다 현실에서 넘어야 할 벽이 더 클 것이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역사를 쓰는 것은 언제나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싸우고 극복해야 하는 긴 릴레이다. 결국 레슬링 대회 금메달은 마하바르 본인과 딸 기타의 투혼이 빚어낸 결과라고 생각한다. 끈질긴 노력 뒤에는 끈질긴 행운과 성공이 있다.

반응형